쏘대리의 티히히히히히히히스토호호호리

스따디 3

쿠버네티스 실습 용 vm 3대 설치하고 서로 ssh 연결하기

하... 진짜 제가 바보인지 이거 하는데 정말 오래걸렸습니다.. 일단 vm 설치는 이지피지한데 각각 고정 ip 할당하는 것 부터 제대로 되는게 하나도 없더라구요. 삽질에 삽질에 삽질을 거쳐서 결국 '어댑터에브리지' 네트워크 옵션을 사용했습니다. 삽질 1. 호스트 전용 어댑터(주절주절) 더보기 처음엔 호스트전용어댑터를 써서 각각 임의의 IP를 할당했는데 이거도 엄청 오래걸렸어요 보통 /etc/netplan/00~.yml을 수정하라고 하는데요 addresses -> 내가 사용할 ip. 끝자리만 바꾸기 gateway4 -> route -n 결과의 Gateway 값 nameservers -> cat /etc/resolv.conf 결과의 nameserver 값 이 세개를 다 제 값을 찾아서 바꿔줘야 인터넷도 끊기..

스따디 2023.11.03

맥북 m1 칩 공장초기화하기 공초

후~~ 시행착오로 한 세시간 걸렸네요;; 1. 맥북 애플계정 로그아웃 2.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계속 누른다. 무슨 설정 아이콘 뜰 때까지 10초 정도? 3. 설정 버튼을 클릭하고디스크 유틸리티 클릭Data 랑 Macintosh HD 지우기 해주기 4. 왼쪽 상단에 유틸리틴가 뭔가 보면 터미널 있는데 그거 선택 5. resetpassword 입력하고 창 뜨면 왼쪽 상단에서 이 mac 지우기 찾아서 클릭 하고 왼쪽 상단에서 터미널 끝내기 찾아서 끝내기 (안해도 설치 되는데 맥북 사용자 계정에서 오류 발생함==못쓴다) 6. Mac OS Big Sur 다시 설치 끝!

스따디 2021.03.24

[git] 윈도우에는 cmd, 맥에는? 터미널! git 사용 준비하기

안녕하세요. Git 공부하는거 남기기 위해 게시글을 써보려 합니다. 우선 저는 이때까지 항상 리눅스를 이용해서 git을 사용해왔는데 이번에 맥북 구매하면서 맥 터미널로 해보게 되었어요. 본 게시물의 제목과 같이 윈도우에는 cmd또는 powerShell을 주로 사용했는데 맥에서는?? 맥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'터미널'을 사용하게 됩니다. 아주 간단하게 런치패드에서 터미널을 검색하면 찾아 들어갈 수 있어요. 처음에는 리눅스 환경을 꾸려볼까 하다가 맥과 리눅스가 비슷비슷하다는 걸 보고 그냥 맥 터미널로 공부하기로 결정했답니다 ^^;;; 여튼 터미널로 들어가면~~ 리눅스와 동일하게 mkdir, cd 등의 명령어를 이용해서 git을 사용할 디렉토리로 가주세요. 저는 study 폴더를 만들었어요. git ini..

스따디 2020.12.30
반응형